근축 상 방정식과 굴절
앞 절에서 구한 근축 상 방정식을 반복 적용하면 순차적으로 있는 평행평면 경계에서 굴절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점 물체의 근축 상을 구할 수 있다.
광축은 굴절 경계면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으로 물체 점 M을 관통한다. 광축은 정점 A에서 표면과 직교되며 상점 M`을 포함한다.
광학적 계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호규약을 사용한다:
- 물체로부터의 빛은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 빛이 출발하여 진행한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들은 양의 값으로 쓴다.
- 빛이 출발하여 진행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는 음으로 쓴다.
앞의 그림에서 물체거리 u는 A로부터 M까지의 거리로써 \( u = AM \)으로 쓰고 상거리 u'는 A로부터 M'까지의 거리이다.
그림에서 물체는 실물체이고 상은 허상이다.
물체거리와 상거리는 둘 다 음의 값을 갖는다.
그림에서 물체는 허물체이고 상은 실상이다.
물체거리와 상거리는 둘 다 양의 값을 갖는다.
위 그림에서 물체는 관찰자로부터 EM 거리에 위치되어 있다.
눈과 물체 사이에 굴절률 n2인 평면 유리판이 그림과 같이 설치된 경우 상은 어디에 있는 것으로 보일까?
여기서 평판 주변의 굴절률은 \( n1 = n3 < n2 \) 이라 하자.
각각의 면은 물체로부터의 광선을 굴절시키는데, 첫 번째 면에 대한 물체점 M1은 굴절되어 상점 M1`를 만들고, 상점 M1`는 두 번째 면에 대해서는 물체점 M2가 된다.
두 번째 면에서 굴절된 후 최종상인 M2`를 마지막 매질의 굴절률 n3에 의존하여 형성하게 된다.
평판의 두께 \( d = A1 \cdot A2 \) 및 광학적 경로 거리에 의해 M1의 위치의 물체가 M2` 위치로 변위되어 보이게 된다.
상거리는 \( EM2` \)이고 변위 \( x = M1M2` \)이 된다.
변위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첫 번째 면에서 \( u1 = A1M1, u1` = A1M1` \), \( d = A1A2 \) 이고,
상 방정식은 \( \frac{n1`}{u1`} = \frac{n1}{u1} \) 이 된다.
첫 번째 면에서 굴절된 후 상거리는 \( u1` = \frac{n1`}{n1} \cdot u1 = A1M1` = A1M2 \)이다.
두 번째 면에 대한 물체거리는 \( u2 = A2M2 = A2A1 + A1M2 = u1` - d \)이다.
두 번째 면에서는 \( \frac{n2`}{u2} = \frac{n2}{u2} \)이다.
우의 \( u1` \)식을 \( u2 \)에 대입하고 \( u2` \)에 대하여 전개하면 \( n1 = n2` = n \), 그리고 \( n1` = n2 = n` \) 로 쓴다.
\( u2` = u1 - (\frac{d}{d`}) \cdot d = A2M2` \)이다.
그런데 \( x = M1M2` = M1A1 + A1A2 + A2M2` \)이므로 변위에 대한 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x = \frac{(n` - n)}{n`} \cdot d \)이다.
'Optics > Ray op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프리즘을 통과하는 광선의 굴절 (0) | 2023.11.17 |
---|---|
18. 평행 평면판을 통과하는 광선의 추적 (0) | 2023.11.16 |
16. 평면 표면에서의 근축 굴절 (1) (0) | 2023.11.14 |
15. 평면 굴절면을 통한 광선의 굴절 (1) | 2023.11.13 |
14. 내부 전반사와 임계각 (1)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