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면 거울의 제조가 개선되는 동안 가시광선 PMI를 사용한 미러 제작의 평가도 큰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제조업체는 제조 공정 중과 제조 공정 후에 거울의 표면 프로필을 측정하여 품질과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가시광선 PMI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고주파수 표면 거칠기를 정확하게 특성화 하기에 어려웠습니다. 그 결과, 보다 미세한 스케일로 표면 세부 사항을 측정하는 고급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요구로 고주파 간섭계 현미경의 발명이 되었는데 이 장비는 나노미터 수준에서 표면 거칠기를 측정할 수 있어 가시광선 PMI의 한계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상기 기술로 고주파 표면 거칠기를 평가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또 다른 중..
위 그림은 렌즈이지만, 비구면에 초점을 맞춰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설명을 담은 포스팅입니다. 바로 미러, 특히 EUV 비구면 미러의 제작 및 개발과정에 관한 포스팅인데요. 자 알아보시죠! EUV은 흡수가 아주 잘되는 빛이기에 렌즈를 사용할 수 없고 반사를 이용해서 광을 웨이퍼에 전달해야합니다. 즉, EUV 미러죠! 하지만 거울 종류에도 여러가지가 있겠죠? 그중에서 비구면 거울을 사용합니다. 비구면 거울이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서 비구면 거울은 단순히 구부러진 모양이 아니라 더 복잡한 모양을 가진 특수 설계된 거울입니다. 이 복잡한 모양은 EUVL에 중요한 빛을 더 정확하게 집중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1980년대 후반에 EUV 이미징 시스템용 미러를 만드는 것은 마치 벅찬 산..
Aspherical-Mirror Imaging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설명을 계속 하겠습니다. 하지만 구면거울이 가지는 수차로 인해 제조공정의 한계가 명백해지면서 비구면거울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비구면 거울은 구면 거울과 달리 구면 수차, 즉 중심이 아닌 가장자리 근처에서 거울에 닿는 광선의 굴절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속성은 EUVL과 같이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1989년 NTT에서 2개 비구면 미러 이미징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리소그래피 노광 설비에 대한 세 가지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했습니다. 이미지 측면에서 텔레센트릭: 시스템은 주광선(조리개 중심을 통과하는 물체 공간의 축외 지점에서 나오는 광선)이 이미지 측면에 평..
이전 포스팅에 이어 계속 하려합니다. 쭉 언급한 내용이지만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EUV 빛은 흡수가 잘되기에 투과가 되지않습니다. 그러므로 EUV 광학계는 투과 광학계 대신 반사 광학게를 사용하여 빛을 웨이퍼에 전달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EUVL에 사용되는 광학 시스템은 복잡하고 복잡하게 설계되어 반사 이미징 시스템 설계의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이 필요합니다. 이전의 포스팅에서도 설명하였듯, EUVL 광학 시스템의 발전은 Schwarzschild 광학의 구현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다시한번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Karl Schwarzschild의 이름을 딴 Schwarzschild 광학은 두 개의 거울을 활용하는 광학 시스템입니다. 이 구성은 EUVL..
잠시 다른 길로 빠지자면 사실 EUV는 처음부터 EUV가 아니었습니다. 1990년대 초 까지는 SXPL(Soft-X-ray Projection Lithography)로 불렸습니다. X-선 근접 리소그래피(XPL)와 구별하기 위해 1993년에 소프트-X-선 리소그래피(SXPL)에서 극자외선 리소그래피(EUVL)로의 이름 변경이 되었죠. 새로운 이름은 EUVL과 당시 널리 사용되었던 DUV 리소그래피의 관계를 반영했습니다. 위 그림은 대략적인 로드맵입니다. 한 눈에 보기 편하죠? 전부 소개 하고싶지만, 지루할게 뻔하니 빠르게 대표적인 두 가지만 살펴 보겠습니다. 진정한 EUV의 탄생이라고 봐야 할까요? 여하튼...계속 진행하겠습니다! 한번 EUV 노광장비 원리?.. 기본적인 것!, 즉 광학계 발전과정을 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