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발진 반전분포상태인 원자계의 매질 안에서는 천이의 스펙트럼 폭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전자파가 증폭된다는 것을 알았다. 다음으로 이 같은 레이저매질이 광공진기 안에 있을 경우를 생각해 보자. 전자파가 두 개의 반사거울 사이를 왕복하면서 레이저매질을 통과하기 때문에 증폭작용이 일어난다. 증폭이 반사거울의 불완전한 반사나 레이저매질 안에서 산란으로 생기는 손실을 상회할 경우, 공진기 안에 축적되는 방사에너지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증가되어 간다. 이 때문에 이득의 포화효과로 증폭률이 감소하고, 발진준위가 높아지며, 결국 포화된 이득이 손실과 같아지는 점에 이르게 된다. 이 점에서는 이득에서 손실을 공제한 실질적인 이득인자는 1이 되고, 전자파의 강도는 증가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정상 발진상태가 되는 것..
엑셀에서 이 함수를 사용하려면, 셀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된다. =CalculateSpotSize(빔X, 빔Y, 발산각, 거리) 발산각: mard, 빔, 거리: mm 예시로 10 X 15 mm Beam shape이 1 mard 발산각을 가질때 1000 mm 거리에서, 138.23 mm^2으로 Spot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계산기는 1/e2의 빔 지름과 빔 분산을 기반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Spotsize의 근사값이 출력된다. 단, 레이저의 경우 빔의 지름은 TEM00 모드 전용이고, Spot의 가시성은 주변 조명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의 흡수 에너지준위 E1과 E2를 갖는 원자에 외부에서 진동수 ν의 전자파를 입사시킬 때, 식 (2-2)의 관계가 성립한다면, 원자는 진동수 ν의 광에 공진하여 효율 좋게 그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에너지준위 E1에서 E2로 여기된다. 이같이 광의 흡수는 원자와 공명하는 특정의 파장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의 전자파상태를 에너지로 표현하여 E2-E1 =hv 로 쓰면, hν는 두 에너지준위 사이의 차 E2-E1과 같은 크기가 된다. 이 hν의 에너지를 갖는 입자를 광자라 하는데, 광이 에너지를 갖는 양자역학적인 입자라고 생각하게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에 표시된 것처럼 광은 광자의 집합체가 되고, 광의 흡수는 광자의 흡수라고 한다. 들뜬 에너지준위 E2에 있는 원자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하고, 짧은 ..
아래의 위키디피아나 다른 문헌을 찾아보면 레이저의 특성쯤이야 금방 알수 있을것이다. 레이저에 대해 나는 최대한 광학적으로 접근하는 포스팅을 할 것이다. 이런 포스팅은 잘 없더라. (물론 있긴 있음) 레이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이저 포인터(적색[635 nm], 녹색[520 nm], 청색[445 nm]) 레이저(laser, 문화어: 레이자)는 유도방출광선증폭(Light Amplification by the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의 머 ko.wikipedia.org LASER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 원자나 분자에 의한 광의 유도방출을 이용한 ..